제주 곶자왈

참고자료 2012. 5. 13. 20:31

1. 서론


곶자왈은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그 존재조차 사람들에게 낯선 지대였다. 제주도에 각종 관광지가 개발되면서, 제주도 본연의 자연이 훼손됨을 인식하면서, 부각된 개념이 곶자왈이다. 지금 곶자왈은 제주도의 고유하고 생명력 있는 본연의 자연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러한 이미지를 이용한 광고까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이니스프리 CF)




2. 곶자왈


곶자왈은 용암 지대 위에서 자라나는 열대와 한대 식물이 공존하는 제주의 독특한 원시림이다.


곶자왈은 제주도 방언으로, '곶'은 숲을, '자왈'은 자갈, 돌멩이를 가리킨다. 여기에서 자갈과 돌멩이는 용암에서 떨어져 나온 자갈, 돌멩이들이다. 즉, 용암의 돌멩이 위에 자라는 숲을 곶자왈이라고 지칭한다. 

곶자왈의 대부분은 용암 중에서도 아아 용암(aa lava)으로 구성되어, 표면이 거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아 용암은 현무암질 용암에 속하여 안산암질 용암에 비하면 점성이 작아 잘 흐르는 편이지만, 현무암질 용암 중에서는 잘 흐르지 않아 거친 표면을 만들어낸다. 아아 용암에 비하면 파호이호이 용암은 비교적 매끈한 표면을 가지고 있다. (역시 거칠고 걷기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이다.)


곶자왈에는 나무, 덩굴식물, 암석 등이 뒤섞여 자라는 곳으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열대 북방한계 식물과 한대 남방한계 식물이 공존하여 자라고 있다. 이는 지하수 함량이 풍부하고 보온, 보습효과가 뛰어나 식물의 생장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곶자왈 안에는 지하의 바람이 새어나오는 풍혈이 있는데, 풍혈에서 나오는 바람은 습도 100%, 온도는 18~21도를 유지한다. 


제주에 곶자왈 지대는 크게 4개의 지역에 분포한다. ①한경-안덕 곶자왈 지대, ②애월 곶자왈 지대, ③조천-함덕 곶자왈 지대, ④구좌-성산 곶자왈 지대 등이다. 이를 지도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곶자왈분포도. (출처: (사)곶자왈사람들. http://www.gotjawal.com/local/local_1.asp)

곶자왈은 자연림과 가시덩굴이 혼합된 자연의 보고로, 동식물이 살아가는 완충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골프장 건설, 쓰레기 매립장, 각종 관광시설들이 제주의 중산간에 자리를 잡으면서 곶자왈 생태가 파괴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사)곶자왈사람들 등 환경단체, 시민단체 등이 보호에 나서고 있다.



3. 비자림


천연기념물 348호로 지정된 국내 최대의 비자나무 군락지이다. 44만 8천여 ㎡의 면적에 500~800년생 비자나무 군락지 2,800여 그루가 자라고 있다. 

비자림은 자연상태에서는 비자나무 군락지가 훼손될 수 있었기 때문에, 1999년 숲 가꾸기 사업이 이루어지고서 비자나무가 주를 이루는 숲이 되었다. 이 때 비자나무를 덮고 있던 덩굴식물(송악, 줄사철, 등수국, 마삭줄 등)과 다른 나무들이 상당부분 제거되었다. 비자림에는 비자나무 이외에도 자귀나무, 팽나무, 비목나무 등이 자라고 있다. 

한편 비자림은 정비되기는 했지만 원래 천연림이다. 한라산 1000m 이상의 고지대에서 자라던 비자나무의 씨앗이 계곡에 휩쓸려내려와 지금의 비자림의 위치에 자랐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비자림은 비자나무를 비롯해 각종 식물이 얽혀자라는 숲이다. 곶자왈은 이렇게 복잡한 숲을 이루고 있다.



용암 위로 드러난 뿌리

땅 위로 드러난 곶자왈의 뿌리

곶자왈은 아아 용암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표면이 매우 거칠다. 또한 토양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아 토양층이 매우 얇다. 그렇기 때문에 곶자왈에서 자라는 나무는 뿌리를 깊게 뻗을 수 없고, 뿌리의 상당 부분이 땅 위로 드러나게 된다. 


곶자왈에 숲이 울창하게 자랄 수 있는 배경에는 그림과 같은 풍혈의 영향이 크다. 풍혈은 지하로 연결된 일종의 구멍으로, 지하에서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풍혈에서 나오는 바람 역시 온도와 습도가 일정하여 숲에서 자라는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준다. 



4. 정리


곶자왈은 제주의 청정 이미지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원시림이다. 또한 표면이 거친 아아 용암은 제주 중산간지대의 개발을 어렵게 하며, 제주의 형성 과정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 중의 하나로 파악되고 있다. 또한 곶자왈은 삼림욕의 장소로 부각되고 있으며 심신의 안정을 위한 휴식처로 각광받고 있다.

이렇듯 제주의 생명력과 미래를 간직한 곶자왈은 그 자체로 보존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의 쌀 음식과 벼농사  (0) 2014.09.03
[경향] 도시 인구, 1960년 이후 첫 감소  (0) 2014.07.15
카나트의 형태와 규모  (0) 2014.05.14
Posted by KarinGeo
,